먼저...

나무 플랫폼으로 아레나를 지어준다. 필자는 기계 보스 3마리를 모두 여기에서 잡을 생각이라 7줄 정도를 깔았지만 파괴자만을 잡을 생각이라면 3~5줄 정도만 깔아줘도 된다. (아레나 가운데에 있는 것들은 뭔가요? 추후 설명할 것이다!)

아직 쓸쓸한 마을...


아레나 가운데에 있는 것들...

  • 모닥불과 하트 랜턴을 제외하면 나머지는 추천 사항이다. 만약 어떻게 구하고 만드는지 안다면 넘어가도 되고, 아니라면 아래 설명을 보자!
  • 왼쪽부터 숫돌(Sharpening Station), 바스테트 조각상(Bast Statue), 모닥불(Campfire)이며 위에 달려있는 것들은 하트 랜턴(Heart Lantern)과 병 속의 별(Star in a Bottle)이다.

  • 모닥불 :
    > 체력 재생력을 늘려준다.
    > 주위에 머무르기만 해도 버프가 적용된다. (패시브)
    > 아무 종류의 나무 10개와 횃불 5개로 "맨손" 제작.

  • 하트 랜턴 : 
    > 체력 재생력을 늘려준다.
    > 주위에 머무르기만 해도 버프가 적용된다. (패시브)
    > 생명 수정과 사슬 4개로 "맨손" 제작. 참고로 사슬은 철/납 주괴 15개로 모루에서 제작할 수 있다. 

  • 바스테트 조각상 :
    > 방어력을 5 늘려준다.
    > 주위에 머무르기만 해도 버프가 적용된다. (패시브)
    > 사막 지하의 오두막에서 떼어오거나, 사암 상자(=사막 상자)에서 14.29%의 확률로 얻을 수 있다.

  • 숫돌 : 
    > 근접 무기의 방어력 무시도를 5 늘려준다.
    > 우클릭으로 버프를 얻어줘야 한다. 죽으면 초기화된다.
    > 정글 지하의 오두막에서 떼어오거나, 상인으로부터 10 골드에 구매할 수 있다.

  • 병 속의 별(이 전략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 
    > 마나 재생력을 늘려준다.
    > 주위에 머무르기만 해도 버프가 적용된다. (패시브)
    > 유리병과 별똥별로 "맨손" 제작. 참고로 유리병은 유리 2개로 만들 수 있고, 유리는 모래 블록 2개로 만들 수 있다. 둘 다 "용광로"에서 제작할 수 있다.

갑옷과 무기

  • 티타늄/아다만타이트 풀셋을 맞춘다. 흉갑과 바지는 선택권이 없지만, 헬멧은 가장 높은 방어력을 제공해주는 것으로 맞춘다.
  • 티타늄/아다만타이트 검을 만든다. 미스릴/오리칼쿰 검이나 코발트/팔라듐 검도 괜찮다. 솔직히 공격력이 60 언저리이면서 공격 속도가 "매우 빠름"이기만 하면 다 된다. 수식어는 Legendary가 가장 좋고, Godly도 차선책으로는 괜찮다. 

장신구

  • 코발트 방패와 재생의 밴드를 제외하면 나머지는 자유롭게 맞춰도 좋다. 필자는 요정의 날개, 전사의 휘장, 야수의 발톱으로 빈 칸을 채웠다. 자세한 설명은 하단 참조!
  • 수식어는 Warding으로 맞추자. Armored도 차선책으로는 괜찮다.
  • 장신구를 맞추느라 허비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 최대한 쉽게 구할 수 있는 것들로만 골라 적었다.

  • 코발트 방패(Cobalt Shield) : 
    > 넉백 면역과 방어력 1을 제공한다. 
    > 던전의 잠긴 황금 상자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 재생의 밴드(Band of Regeneration) : 
    > 초당 0.5 체력 재생력을 제공한다. 
    > 지하, 대동굴의 황금 상자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질리도록 나오므로 입수 난이도가 매우 낮다...

  • 요정의 날개(Fairy Wings) : 
    > 비행 능력을 제공한다.
    > 픽시 가루 99개와 비행의 영혼 20개로 제작한다. 어디까지나 편의용이므로, 다른 이동용 장신구로 대체할 수 있다.

  • 전사의 휘장(Warrior Emblem) : 
    > 근접 공격력을 15% 올려준다.
    > 월 오브 플래시를 처치하여 25% 확률로 획득할 수 있다.

  • 야수의 발톱(Feral Claws) : 
    > 근접 공격 속도를 12% 올려준다.
    > 정글 지하의 넝쿨 상자(=정글 상자)로부터 21.72% 확률로 획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 이미 위의 세팅만으로도 충분히 잡지만, 혹시 모른다 싶으면 철피부 포션(Ironskin Potion)을 먹자.
  • 음식을 먹는 것도 도움이 된다.

패턴 공략

  • 보스가 땅 속으로 깊이 들어가서 꼬리만 보일 듯 싶을 때, 갑작스럽게 머리를 필두로 플레이어에게 돌진하는 경우가 있다. 이 패턴만 잘 피해주면 한 손으로도... 공략할 수 있다. (물론 맞으면서 해도 그렇게까지 위험하지는 않다. 세팅의 무서움을 보여주자!)

플레이 영상

https://youtu.be/iiYJ61Rli2Y

침대같은 편안함~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개요

  • 서머너는 다른 직업과는 다르게 최종 세팅이 정해져 있다.
  • 여러모로 추가 업데이트가 더 필요한 직업인 셈이다...
  • 참고로 어떤 직업이든지 간에 Legendary Zenith가 있으면 좋다.
  • 무기 앞에 써져 있는 수식어는 최고 수식어이다.

무기

    • Legendary Kaleidoscope :
      밤 신성지대에서 나오는 선명한 풀잠자리를 죽였을 때 소환되는 빛의 여제를 처치하여 25% 확률로 획득.
    • Ruthless Terraprisma :
      낮 신성지대에서 선명한 풀잠자리를 죽였을 때 소환되는 강화된 빛의 여제를 처치하여 100% 확률로 획득. 선명한 풀잠자리를 사전에 포획한 뒤 죽여야 한다.
    • Ruthless Stardust Dragon Staff :
      Lunatic Cultist를 처치한 뒤 소환되는 소성단의 기둥을 파괴하여 획득한 Stardust Fragment로 제작.

방어구

    • Stardust 세트 :
      달의 군주를 처치하여 Luminite 주괴를 획득한 뒤, 그걸 Stardust Fragment와 조합하여 제작.

장신구

    • Menacing Summoner Emblem
      Wall of Flesh를 처치하여 25% 확률로 획득.
    • Menacing Hercules Beetle
      플랜테라를 처치한 이후에, 정글에 거주하는 주술사 NPC를 통해 구매.
    • Menacing Pygmy Necklace
      주술사 NPC를 통해 구매.
    • Menacing Necromatic Scroll
      펌킨문 이벤트에서 탄식하는 나무가 2%~20%의 확률로 드롭. 웨이브가 높아질수록 확률도 늘어남.
    • Menacing Papyrus Scarab
      Necromatic Scroll과 Hercules Beetle을 땜장이의 작업대에서 조합.

탈 것

  • Cosmic Car Key (흔히 말하는 UFO) : 
    화성의 광기 이벤트에서 우주선을 파괴하면 16.66%의 확률로 획득 가능.

보조

  • Summoning Potion
    Variegated Lardfish, Bottled Water, Moonglow를 조합하여 포션 제작대에서 제작. Variegated Lardfish는 대동굴 레벨 이하의 Underground Jungle에서 낚을 수 있고, Moonglow는 정글 지하에서 적당히 씨앗 몇 개만 캐온 뒤, 드라이어드가 파는 화분을 사서 재배하면 편하다.

추가적으로...

  • Terraprisma는 AFK 파밍용, Stardust Dragon Staff는 보스용이다.
  • 그러나 빠르게 움직이는 보스에게는 Terraprisma가 훨씬 나은 경우도 많다.
  • 펌킨문과 주술사만 있으면 모든 장신구를 쉽고 빠르게 맞출 수 있어서 엔딩을 본 이후에 재미로 플레이하기에는 가장 좋은 직업이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개요

  • 아직까진 적이 기지로 쳐들어오는 일은 없다. 그러나 "미션을 클리어하기 위해서 전투를 해야"하는 최초의 미션이다.

Mission Objective

  • Eradicate the alien infestation.
  • Raynor must survive.

공략

  • 투 트랙으로 나눠진다; 1. 적당히 운영을 할 것이냐? 2. 아니면 빠르게 클리어할 것이냐?
  • 1. 11시로 달려가서 멀티를 공짜로 하나 얻는다. 이후 3배럭으로부터 마린 & 파벳을 충원하여 1시를 천천히 밀면 된다.
  • 2. 초반에 주어지는 레이너와 마린 4마리 + 구출한 파벳을 모두 끌고 1시로 달려가도 미션을 깰 수 있다.

플레이 영상

https://youtu.be/_hDEyXvaL9Y

처음으로 감염된 커맨드 센터를 봤을 때의 그 충격이란...

소감

    • 메딕을 못 쓰니 마린의 허약한 체력만이 부각된다. 같은 머릿수의 저글링조차도 못 잡는 것 같다... 그나마 레이너를 탱으로 세우면 본래의 DPS를 발휘할 수 있다는 점이 참 다행이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개요

  • 아직까진 초반부, 튜토리얼격 미션이다. 편한 마음으로 하자!

Mission Objective

  • Find Raynor
  • Build a Barracks
  • Train 10 Marrines

공략

  • 커맨드를 띄워서 미네랄 지대에 가까이 붙이면 좋다. (경험상 모든 오리지널 미션에 해당하는 듯?)
  • 인구수가 부족할 일은 없다. (커맨드 + 서플라이 1개를 제공받기 때문)
  • 맵 상에 널려있는 저글링이 기지로 쳐들어오는 일은 없으니, 마음 놓고 플레이해도 된다.

플레이 영상

https://youtu.be/AVuZE9bcMEc

??? : 황무지로 가라니, 말도 안 돼!

소감

  • 레이너의 강력함을 체감할 수 있는 미션이었다. 어택땅만 해도 맵 상에 있는 모든 저글링을 잡을 수 있을 거라 확신한다 ㅋㅋ...

다음 글

캠페인 에피소드 1.2 Backwater Station

 

[스타크래프트] 캠페인 에피소드 1.2 Backwater Station

개요아직까진 적이 기지로 쳐들어오는 일은 없다. 그러나 "미션을 클리어하기 위해서 전투를 해야"하는 최초의 미션이다.Mission ObjectiveEradicate the alien infestation.Raynor must survive.공략투 트랙으로 나

quickclid.tistory.com

개요

  • 첫 미션이다. 참고로 브리핑 화면에서 좀 오래 기다리면, AI가 레몬치킨 조리법을 읊는다...

Mission Objective

  • Build 3 Supply Depots
  • Build a Refinery
  • Gather 100 Vespene Gas

공략

  • 커맨드를 띄워서 미네랄 지대에 가까이 붙이면 좋다.
  • 마린을 쓸 일이 없다. 마침 인구도 부족하므로, 마린 몇 마리를 좋은 곳으로 보내주자.
  • 맵 상에 널려있는 저글링이 기지로 쳐들어오는 일은 없다. 마음 놓고 플레이해도 된다.

플레이 영상

https://youtu.be/5SFvqbE4Nps

스타크래프트에 입문한 것을 환영한다!

소감

  • 뭔가 기초부터 다져가는 느낌이다. 그리고 생각보다 쉬워서 안심했다. 아무렴 브루드워 챕터 6까지 순조롭게 클리어할 수 있으면 좋겠다!

다음 글

캠페인 에피소드 1.1 Wasteland

 

[스타크래프트] 캠페인 에피소드 1.1 Wasteland

개요아직까진 초반부, 튜토리얼격 미션이다. 편한 마음으로 하자!Mission ObjectiveFind RaynorBuild a BarracksTrain 10 Marrines공략커맨드를 띄워서 미네랄 지대에 가까이 붙이면 좋다. (경험상 모든 오리지널

quickclid.tistory.com

 

이 부분을 완전히 정복해보자!


목차

  1. Has Exit Time
  2. Exit Time
  3. Fixed Duration
  4. Transition Duration
  5. Transition Offset
  6. 현재 State를 받는 법

Has Exit Time

  • Exit Time의 사용 여부를 결정한다.

Exit Time

  • Exit Time이란 특정 State에 진입했을 시, Transition 조건을 충족했더라도 다음 State로 넘어가지 않은 채로 버티는 시간을 말한다. 단위는 (Animation Clip의 재생 시간에 기반한) normalized이다.
  • 주로 격투 게임에서 State Delay를 구현하는 데 사용된다. (예 : 땅에 착지하는 모션이 모두 재생된 다음에야 파동권을 쏠 수 있도록 만들기 위해 사용됨)

Fixed Duration

  • Transition Duration의 단위를 결정한다; "실제 초(fixed)"로 할 것인지, "normalized(%)"로 할 것인지?

Transition Duration

  • 현재 State와 다음 State를 얼마만큼 Blend하여 Transition할 것인지 결정한다. 범위는 0 ~ 1까지이다. 이 값이 크면 클수록 자연스럽다. 그러나 너무 크면 Input과 Action의 딜레이가 크다는 느낌을 받을 수도 있으니, 0.2 ~ 0.25 정도로만 정하자.
  • 참고로 Sprite Sheet Animation이라면 무조건 0으로 설정해야 한다. 자연스러운 Blend가 불가능하다.

Transition Offset

  • 애니메이션을 어느 시점에서부터 재생할지 결정하는 옵션이다.
  • 대표적인 사용처로는 Idle -> Walk Transition에서 Walk State의 Transition Offset을 25%로 설정하는 것이다. 그러면 발이 순간이동하는 것처럼 보이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현재 State를 받는 법

  • AnimatorStateInfo를 통해 받을 수 있다.
  • 사용 예 : Update() 내부에 AnimatorStateInfo stateinfo_base = anim.GetCurrentAnimatorStateInfo(0)를 넣는다.
  • 참고로 GetCurrentAnimatorStateInfo(int)에서 int는 레이어를 넣는 곳이다. 3D Rig Humanoid Animation에서 자주 사용되는 개념으로 0이면 Base, 1이면 Upper Body이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GitHub Desktop 최고!


Unity 전용 .gitignore

  • GitHub에서 Repository를 새로 만들 때 .gitignore 항목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다. 

.gitignore
0.00MB


Unity Editor 설정 변경

  • Edit >> Project Settings >> Version Control >> Mode를 Visible Meta Files로 변경
  • git push & pull을 할 때마다 mesh collider의 위치가 엇갈리는 것을 방지해준다.

초기화 (자신이 팀장인 경우)

  • 작업하는 directory는 Unity > Project > Currently Working Project인 것으로 간주한다.
  1. Unity 전용 gitignore을 Currently Working Project에 넣어준다.
  2. git config --global init.defaultBranch main를 친다. 이후에 git init을 할 때마다 기본 branch가 main이 된다. 
  3. git init
  4. git remote add origin url (remote에 있는 빈 리포지토리의 url)
  5. git add .
  6. git commit -m "first commit"
  7. git push

초기화가 올바르게 진행됐는지 확인

  1. git remote add origin 이후에 git remote -v
  2. git add . 이전에 git status

이후 작업할 때

  1. git checkout main (현재 브랜치를 main으로 이동)
  2. git pull (최신 상태 반영)
  3. git branch 브랜치이름 (작업용 브랜치 생성)
  4. git checkout 브랜치이름
  5. 작업하기... (git add ., git commit -m "asdf", git push)
  6. 이후 GitHub Repository에 가보면 PR이 있을 것. 
  7. git conflict를 해결한 뒤, merge. 또한 밑에 delete branch 버튼이 있을 것. 이것도 눌러준다.
  8. git branch -d 브랜치이름 (작업한 브랜치를 로컬에서 지운다)

차선책

  • 엔진을 다룰 수 있는 기획자 & 아트 직군과 협업하는 경우, git보다는 GitHub Desktop을 사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수도 있다.
  • GitHub Desktop은 GUI로, commit, push, pull, branch 교체가 자유롭고 편하다.
  • 이렇게 작업하는 경우, 주로 리드 프로그래머가 베이스 프로젝트를 main에 push 한 뒤, stage와 같은 협업용 branch를 따로 판다.
  • 협업용 branch에는 자유롭게 push를 할 수 있으나, conflict를 방지하기 위해 push 여부를 최대한 자주 디스코드에 알려줘야 한다.
  • conflict가 난 경우 VS Code를 통해 빠르게 고칠 수 있다; HEAD 쪽을 잘 보면 위에 작은 글씨로 incoming과 같은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공통 (활/총 레인저 구분 없이...)

  • 방어구 : Voetex 세트

  • 탈 것 : Cosmic Car Key (흔히 말하는 UFO)

  • 보조 : Ruthless Stardust Cell Staff

활 레인저

    • 무기 : Unreal Phantasm

    • 탄약 : Luminite Arrow

    • 장신구 (극딜 세팅 / DPS 11,000) :
      Menacing Ranger Emblem
      Menacing Avenger Emblem
      Menacing Destroyer Emblem
      Menacing Sniper Scope
      Menacing Recon Scope

    • 장신구 (편리한 세팅 / DPS 10,500) : 
      Menacing Ranger Emblem
      Menacing Stakler's Quiver (극딜 세팅에서 이것만 바뀐다. 화살 속도 100% 증가 덕분에 맞추기가 쉬워진다!)
      Menacing Destroyer Emblem
      Menacing Sniper Scope
      Menacing Recon Scope
  • 보조 : Archery Potion

총 레인저

  • 무기 : Unreal S.D.M.G

  • 탄약 :
    Luminite Bullet (극딜)
    Chlorophyte Bullet (안정성)

  • 장신구 (Luminite Bullet DPS 10,000 / Chlorophyte Bullet DPS 9,000) :
    Menacing Ranger Emblem
    Menacing Avenger Emblem
    Menacing Destroyer Emblem
    Menacing Sniper Scope
    Menacing Recon Scope

추가적으로...

  • 활 레인저가 총 레인저보다 DPS가 10% 정도 더 높다. 그러나 총 레인저 & 녹조류 총알의 안정성에는 비할 바가 못 된다.
  • 그러므로 이벤트에서는 활 레인저를, 보스전에서는 총 레인저를 추천한다.
  • Vortex 방어구 세트를 입은 상태에서 "S" 키를 더블 탭하면 은신 상태에 돌입한다. 데미지 폭증의 핵심 열쇠!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은...

투혼에서 테란으로 컴퓨터(프로토스) 3마리를 잡아볼 것이다.


전략

  1. 생더블
  2. 배럭 & 팩토리로 입구 막기
  3. 배럭 뒤에 벙커 건설 (질럿 어그로)
  4. 4팩 & 33업 (탱골벌 전부 뽑아야 함)
  5. 4번 과정 중에 계속 소규모 전투를 벌이며 컴퓨터의 병력이 쌓이는 것을 방지
  6. 삼룡이 먹기 (이게 제일 힘듦...)
  7. 컴퓨터의 자원줄이 마를 때까지 대기
  8. 순회공연

플레이 영상

https://youtu.be/tquINTHJSGY

배럭과 팩토리를 붙이면 질럿이 들어오지 못하는 심시티가 된다!

소감

  • 전략은 명확하나 그걸 직접 할 수 있게 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렸다.
  • 생더블과 입구막기, 벙커 건설이 못해도 4분 30초 안팎으로 끝나야 했기에 초벌 과정에서부터 여러 번 재시도를 했다.
  • 그러나 빌드업이 끝나면 끝인 프로토스와는 다르게, 테란은 상대방의 고급 유닛이 나오기 전까지 계속해서 메카닉 유닛을 뽑으며 수비를 강화하고, 틈틈히 소규모 전투도 해서 병력 규모를 줄여놔야 했기에 더 어려웠다.
  • 벌쳐 지뢰는 한 줄기, 아니 여러 줄기의 빛이다... 까먹지 말고 심어주자!
  • 다크 템플러가 틈틈히 나와 부대 단위의 탱크를 지워버린다. 베슬을 꼭 대동하자.
  • 거의 10판 넘게 실패했지만, 시도하는 과정에서 컨트롤이 많이 늘었다. 정말 뿌듯하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출시까지 단 한 걸음...!


앱에 관한 설정은...

보통 Edit > Project Settings > Player에서 많이 한다. 후술할 항목들도 이곳에서 설정값을 만진다는 가정 하에서만 유효하다. 처음 Player 창에 들어가면 Company Name부터 시작해서 Icon, Resolution and Presentation, Splash Image, Other Settings가 보일 것이다. 


기본 설정

  • Company Name : 제작자의 이름을 적는 곳
  • Product Name : 게임의 이름을 적는 곳
  • Version : 앱스토어에 표시될 버전을 적는 곳. 그러나 실제로 버전이 "달라졌다는" 사실은 다른 항목으로 판정한다.
  • Default Icon : 앱 아이콘

Resolution and Presentation

  • Orientation > Default Orientation에서 Auto Rotation으로.
  • Orientation > Allowed Orientation for Auto Rotation에서, 가로 게임이면 Landscape Right & Landscape Left만 체크. 세로 게임이면 Portrait & Portrait Upside Down만 체크.

Splash Image

  • Logos 리스트에 자신이 원하는 Logo를 추가할 수 있다. 
  • Preview를 통해 취향껏 커스텀하자.
  • Unity 6.0 버전에서도 Unity Logo를 지울 수 있다.

Other Settings

  • Identification > Override Default Package Name 체크 해제. (이유 : Unity가 Company Name과 Product Name을 합쳐 자동 생성한 Package Name은 바꾸지 않는 것이 좋다. 이게 다르면 플랫폼이 아예 다른 앱으로 인식하고, 업데이트 대신 "새로 설치"를 종용하기 때문)
  • Identification > Bundel Version Code는 앱을 업데이트 할 때마다 1씩 늘려줘야 한다. (이유 : 플랫폼에서, 맨 위에 있는 Version이 아닌 Bundle Version Code를 통해 앱의 업데이트 여부를 확인하기 때문)
  • Identification > Minimum API Level은 자주 바뀌는 편이다. 자신이 앱을 출시할 플랫폼의 정책에 맞춰 설정하자.
  • Configuration > Scripting Backend를 목적에 맞춰 설정하자. 출시용이라면 IL2CPP로, 빌드 테스트용이라면 Mono로.
  • Configuration > Target Architectures에서 ARM64에 체크. Google Play Store에 출시하려면 필수다.

Publishing Settings

  • Project Keystore > Custom Keystore를 체크. 이후 Select... Browse...를 통해 잘 선택한 뒤 (Keystore) Password를 맞게 치면 Project Key > Alias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Password를 맞게 쳐주면 출시 준비 완료!

마지막으로...

  • Edit > Project Settings > Player가 아닌, File > Build Profiles > Andriod로 가서 Platform Settings 밑에 있는 Build App Bundle (Google Play)를 체크해야 한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