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에 관한 설정은...
보통 Edit > Project Settings > Player에서 많이 한다. 후술할 항목들도 이곳에서 설정값을 만진다는 가정 하에서만 유효하다. 처음 Player 창에 들어가면 Company Name부터 시작해서 Icon, Resolution and Presentation, Splash Image, Other Settings가 보일 것이다.
기본 설정
- Company Name : 제작자의 이름을 적는 곳
- Product Name : 게임의 이름을 적는 곳
- Version : 앱스토어에 표시될 버전을 적는 곳. 그러나 실제로 버전이 "달라졌다는" 사실은 다른 항목으로 판정한다.
- Default Icon : 앱 아이콘
Resolution and Presentation
- Orientation > Default Orientation에서 Auto Rotation으로.
- Orientation > Allowed Orientation for Auto Rotation에서, 가로 게임이면 Landscape Right & Landscape Left만 체크. 세로 게임이면 Portrait & Portrait Upside Down만 체크.
Splash Image
- Logos 리스트에 자신이 원하는 Logo를 추가할 수 있다.
- Preview를 통해 취향껏 커스텀하자.
- Unity 6.0 버전에서도 Unity Logo를 지울 수 있다.
Other Settings
- Identification > Override Default Package Name 체크 해제. (이유 : Unity가 Company Name과 Product Name을 합쳐 자동 생성한 Package Name은 바꾸지 않는 것이 좋다. 이게 다르면 플랫폼이 아예 다른 앱으로 인식하고, 업데이트 대신 "새로 설치"를 종용하기 때문)
- Identification > Bundel Version Code는 앱을 업데이트 할 때마다 1씩 늘려줘야 한다. (이유 : 플랫폼에서, 맨 위에 있는 Version이 아닌 Bundle Version Code를 통해 앱의 업데이트 여부를 확인하기 때문)
- Identification > Minimum API Level은 자주 바뀌는 편이다. 자신이 앱을 출시할 플랫폼의 정책에 맞춰 설정하자.
- Configuration > Scripting Backend를 목적에 맞춰 설정하자. 출시용이라면 IL2CPP로, 빌드 테스트용이라면 Mono로.
- Configuration > Target Architectures에서 ARM64에 체크. Google Play Store에 출시하려면 필수다.
Publishing Settings
- Project Keystore > Custom Keystore를 체크. 이후 Select... Browse...를 통해 잘 선택한 뒤 (Keystore) Password를 맞게 치면 Project Key > Alias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Password를 맞게 쳐주면 출시 준비 완료!
마지막으로...
- Edit > Project Settings > Player가 아닌, File > Build Profiles > Andriod로 가서 Platform Settings 밑에 있는 Build App Bundle (Google Play)를 체크해야 한다.